- 항공기 화재진압 목차
1. 항공기 화재의 특성
항공기에는 대형여객기, 화물기, 군용기, 자가용 비행기 및 헬리콥터 등이 있습니다. 기체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① 대형기는 많은 항공연료를 적재하고 있기 때문에 연소는 급격하게 발생하고, 인명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② 시가지에 추락해 출화한 경우는 지상건물로의 연소확대도 발생하고, 대형화재로 발전합니다.
③ 연소방향 및 연소속도가 풍향, 풍속 등 기상상황 및 지형의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④ 화재후 알루미늄 합금 등이 단시간에 연소하여 외판 등의 금속부분이 용해됩니다.
⑤ 연료탱크가 주날개 안에 있기 때문에 주날개 부근이 화재의 중심이 되고, 유출연료 등에 의하여 주위에 연소확대
됩니다.
⑥ 연료가 많이 유출되는 경우는 낮은 곳으로 화면이 급격하게 확대될 위험성이 있습니다.
⑦ 연료탱크에 손상이 없고, 액체의 일부가 연소하는 경우는 연소가 비교적 완만하고 연소속도도 느립니다.
⑧ 군용기 화재에 있어서는 탑재된 폭탄, 총탄 및 장착된 화약이 폭발을 일으킬 우려가 있습니다.
2. 소방활동 요령
가. 진입 및 위치선정
① 진입위치 선정은 초기 진압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소방대가 비행장에 진입할경우는 통보내용, 소방용수 상황, 기상
상황 및 부지경사를 고려하여 진입구를 선정합니다.
② 활주로의 진입은 비행장 관계자에게 활주로 폐쇄조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2차재해 방지에 세심한 주의를 합니다.
③ 접근은 머리부분, 풍상, 측면으로 접근합니다.
④ 전투기 이외의 항공기 경우는 일반적으로 머리부분으로 접근합니다
⑤ 기관총 또는 로켓포를 장착한 전투기의 경우는 머리부분부터의 접근은 위험하기 때문에 꼬리부분이나 측면으로 접근
합니다.
⑥ 제트기의 경우는 엔진에서 고온의 배기가스가 강력히 분출되기 때문에 화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머리부분부터 대략
7 .5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합니다.
⑦ 프로펠러기의 경우는 프로펠러에 접근하지 않습니다.
⑧ 대량의 연료유출에 의하여 화세확대가 예상되기 때문에 항상 퇴로를 고려하여 접근합니다.
⑨ 주날개 및 바퀴의 접근을 피합니다.
⑩ 기체에 접근이나 기내진입 시에는 구조대원과 함께 포소화, 분무주수 등 엄호주수 하고 백드래프트에 의한 재연소
방지에 노력합니다.
⑪ 기내 승객들의 구조는 출입구 등의 구출구에 접근하여 구조가 용이한 요구조자부터 신속하게 구조합니다.
나. 활동 원칙
① 비행장 내에 있어서는 자위소방대와 긴밀한 연계하에 인명구조를 최우선으로 합니다. 포 방사에 의한 화재진압을 중심 으로 하고, 풍상에서 접근합니다.
② 작업 중에 직접 관계자 외의 출입을 금지하며 사고기의 착륙지점, 정지 예상지점부근에 화학차를 배치합니다.
③ 피난유도 및 구출은 동체의 풍상 측의 비상탈출구를 이용해서 탈출장치(EscapeChute)를 활용합니다.
④ 지휘관은 현장의 통제, 인명구조, 화재방어 등의 3가지에 중점을 두고 지휘하여야 합니다.
⑤ 연료의 유출에 의하여 화세를 확대시키지 않도록 토사 등의 살포를 고려합니다.
⑥ 이륙시 추락의 경우는 많은 양의 연료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화재의 급격한 확대가 예상되기 때문에 신속한 소화체제를 갖춥니다.
⑦ 연료관 또는 유압관의 파손부분으로부터 유류가 유출되고 있는 경우는 유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나무로 막거나
누출방지 작업을 합니다.
⑧ 가열된 동체를 급속히 냉각하면 파열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합니다.
⑨ 복사열이 강하기 때문에 활동대원은 반드시 방열복을 착용한 후 활동합니다
⑩ 화재현장 및 그 주변에는 「화기엄금」의 조치를 합니다.
3. 포 방사활동
① 동체착륙을 할 경우에는 활주로에 공기포를 피복합니다.
- 피복 길이는 활주로의 1/3을 목표로 하며, 피복 폭은 쌍발기 이상은 엔진간격의 약 1.5배, 단발기는 8~10m로 합니다.
- 포의 두께는 4~5㎝ 정도로 하고, 시간적 여유 또는 포 원액에 여유가 없는 경우는 100~150m 범위를 긴급히 전면
피복합니다.
② 관창은 진입구 부근에 포 방사를 실시하고, 스스로 인명구조 외에 다른 구조대원 및 요구조자를 보호합니다.
③ 포소화와 분무주수를 중점으로 하고, 직사주수는 하지 않습니다.
④ 동체하부 및 그 주변 약 5m 이내를 우선적으로 소화합니다.
⑤ 고발포는 지표 등 평탄한 부분을, 저발포 방사는 기체 등 입체부분을 소화합니다.
⑥ 포 방사에 있어서 직접 직사주수는 동체보호 등 필요 최소한에 그치고 광범위하게 방사를 합니다.
⑦ 포의 침투가 어려운 날개 내부 등의 소화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합니다.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성 사고 대응 계획 (0) | 2024.04.02 |
---|---|
산림화재 소방활동 (0) | 2024.03.31 |
선박 화재 진압 (0) | 2024.03.31 |
차량 화재 진압 활동 (0) | 2024.03.30 |
차량 화재의 종류 (0) | 2024.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