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6958649/skin/images/jquery.toc.js

고층 건축물 화재

2024년 03월 24일 by 반짝반짝 내인생

    고층 건축물 화재 목차
반응형

소방관계법령에서 정하는 고층건물은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건축법규상 초고층 건물은 50층 이상, 200이상의 건축물로 정

이 된다.30~49(120~200m) 건물을 '준 초고층'건축물로 분류하여 50

이상 초고층건물에 준하는 건축법적 기준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고층건축물

1. 고층 건축물이란

고층건물(준 초고층건물과 초고층건물을 포함, 이하 고층건물이라 함)의 일반적 화

재성상은 내화구조 건물 화재의 상황과 유사합니다. 그러나 고층건물에서는 그 높이나

용도에 따라 구조적, 설비적으로 여러 가지 규제가 있으며, 화재의 상황도 다릅니다. 예를

들면 최근 20층을 넘는 고층건물의 공동주택이 많이 건설되고 있지만 공동주택의 경우

일반적으로 1구획은 100내외의 내화조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구획으로 연소

확대되는 경우는 적습니다. 그러나 주택 이외의 용도인 경우(특히 백화점이나 극장 등)

재가 발생했을 때는 연소 확대 위험이 매우 큽니다. 이와 같이 고층건물 화재의 경우 그 건물의 설비나 구조를 파악하고 활동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그러나 모든 고층건물이 법령의 규제에 따라 완벽하게 유지관리 된다고 확신해서는 안 됩니다. 실제 화재사례에서 방화구획 밖이나 상층부로 연소 확대 된 고층건물 화재도 종종 발생됩니다.

 

1. 고층건물 화재의 일반적 특성

첫 번째 화재초기는 내부의 가연물에 착화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산하면서 연소하기 시작합니다. 이 때문에 흰 연기, 수증기가 왕성하게 분출하여 실내를 유동합니다 두 번째, 불완전 연소가스가 실내에 가득하여 시야확보가 불가능합니다. 세 번째, 화점실에서 나온 연기는 계단 등을 경유하여 위층부터 차례로 연기가 충만해지고, 이때는 보통 공기 유입 쪽(급기 측)과(급기측) 연기가 나가는 쪽(배기 측)이(배기측) 구분됩니다. 네 번째, 중기 이후가 되면 검은 연기가 분출되고, 창유리가 파괴되어 화염이 분출됩니다. 다섯 번째, 화염의 분출과 동시에 공기의 공급에 의하여 화세는 강렬해집니다.. 여섯 번째, 고온의 불꽃으로 외벽에서 타일 등이 떨어지는 박리현상이62) 일어나고, 때에 따라서는 파열하여 비산 합니다. 일곱번째, 건물구조상 결함(스라브의 구멍, 파이프 관통부의 마감 불완전 등)이 있으면 그 부분을 통하여 상층으로 연소합니다. 전기배선 샤프트(EPS) 내에(EPS) 묶여 있는 케이블은 만약 화재가 발생할 경우 다른 층으로의 연소나 연기확산의 경로가 됩니다. 여덟 번째, 베란다 등이 없는 벽면에서는 창에서 분출되는 불꽃이 상층으로 연소 확대됩니다. 아홉 번째, 계단실, 에스컬레이터 등의 구획이 개방된 경우 그곳을 통하여 상층으로 연소합니다.

열 번재, 초고층 건물의 상층은 강화유리 등으로 설치되어 있어 화재가 확대될 경우 광범위

하게 파괴, 낙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2. 고층 건축 화재 진압의 전술적 환경

고층건물 화재진압의 어려움은 건물의 높이, 규모에 의한 활동의 입체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수인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건물 내의 피난상황 등의 실태 파악이 곤란합니다. 그러나 고층건물은 소방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적절하게 활용하면 화재진압이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 고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방수한 물이 아래층은

로 흘러 많은 수손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합니다.

고층건물 화재진압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은 소방시설을 포함한 건물설비

시스템입니다.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소방대원과 장비를 나를 수 있도록 작동되고, 소방용수(수도) 시스템도 고층까지 충분한 압력과 양으로 제공되어야 합니다. 수신반과 감시카메라도 필요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작동되어야 하며,, 건물 내 거주자들이 대피정보 등 긴급사항을 들을 수 있도록 장내 방송 설비가 제대로 작동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건물설비 시스템의 어느 것이라도 제대로 작동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적인 소방활동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층건물에서 이러한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거나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어, 고위험, 고층건물에 대한 선

택적 집중관리가 필요합니다.

 

1971년 크리스마스 날 발생한 대연각 호텔 화재는 피난계단을 폐쇄시켜 놓아 대 참사가 발생(사망 163,(사망 부상63명)하였고부상 63명)하였고, 201010월에 발생한 부산 해운대 OO고층건물 화재는 상업-주거시설이 분리돼 비워두어야 하는 PIT(전선, 배관 등이 모여 있는 곳)을 미화원 휴게실로 불법 사용하다 이곳에서 화재가 발생였습니다.. 이와 같이 고층건물 화재 시 주로 발생하는 건물설비 시스템(소방시설 등)의 결함사례는 비상엘리베이터 미 작동, 고온의 화염과 방수에 의한 전기시설 미 작동,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중간에 멈춰버린 경우, 엘리베이터에서 로비(방재실)로 통신연락이 두절된 경우, 화재발생 당시 수도시설 보수로 소방용수 공급이 멈춘 경우, 소방펌프가 작동되지 않은 경우, 소방호스가 떨어지는 유리에 잘려나가 방수압이 부족한 경우, 알루미늄 재질의 수도관이 녹아 수압이 떨어진 경우, 수압조절밸브를 저압에 두어 그 원인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낭비한 경우 등 다양한 사례들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결함 들은 소방대원들이 화재진압을 힘들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하면서, 화재는 점점 확산되어 가는 상황이 전개됩니다.

 

반응형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 전략  (0) 2024.03.26
(초)고층건물 화재 진압  (1) 2024.03.26
전기설비 화재(C급 화재)  (0) 2024.03.24
전기 화재의 대응 활동  (0) 2024.03.24
이차전지 화재의 대응책  (0) 2024.03.24